본문 바로가기
DevOps

[Wireshark] TCP 장애 대응 순서

by bkuk 2023. 3. 6.

DOD Model을 기반으로 총 Accss 수준, Network 및 Tansport 수준, Application 수준으로 나누어서 분류한다.

1. Access 수준

  • 1) Segment의 Lost (유실)인지?
  • 2) Out of order 순서에 문제가 있는지?

Access 수준에서 발생하는 장애는 심각한 문제이다. 
Segment의 유실과 ACK 순서에 오류이니.. 해당 데이터들은 더 볼필요도 없이 오류 투성일 것이다.


2.  Network 및 Tansport 수준

  • 1) 재전송 요구(Retransmission)
  • 2) duplicate ACK

위 그래프를 보면 연두색 바와 동일하게 트래픽이 급격히 증가한 구간을 볼 수 있다.
이를 통해 추측할 수 있는 사실은, 데이터 량이 급격히 증가해서 트래픽이 증가한게 아니라,
Retransmission, duplicate ACK과 관련된 오류를 처리하기 위해서 트래픽이 증가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.


3. Application 수준

  • 1) zero window size, I/O Buffer에서 Full이 된 경우

Zero Window가 발생한 지점부터 Client와 Server는 통신이 끊겼다.
이 의미는, 수신측의 I/O Buffer가 Full이 된 것이다. 30초 동안 지속된 것도 확인할 수 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