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Java153

[Java] CSV 파일을 열었을 때, 한글 깨짐 현상 발생시 해결 방법 Excel 실행 → csv 파일 끌어서 열기 → 다른이름으로 저장 → 메모장 열기 2023. 2. 11.
[JSP] StringBuilder를 통해서 onclick 이벤트의 인자(argument)를 전달할 때 발생하는 오류 해결 방법 / Uncaught SyntaxError: Unexpected end of input 위와 같이 인자를 넣으면 아래와 같이 생성되고 이를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에러가 발생한다. Pass a string parameter in an onclick function I would like to pass a parameter (i.e. a string) to an Onclick function. For the moment, I do this: '' with stackoverflow.com 좌우로 백탭을 넣었다. 2023. 2. 7.
[Java] String의 null 처리에 관해서 / <null 처리, String, java.lang.NullPointerException> 위와 같이 에러가 발생했을 때 처리하는 방법이다. 이는 흔히 발생할 수 있는 NullPointerException에 관한 내용이다. jsp에서 위와 같이 String의 초기 값을 null로 설정했다고 하고, 만약 session 값이 있다면 그 값으로 변수에 할당한다. 없다면 초기값 null로 계속 할당 되어있는 것이다. 만약 위와 같이 if문을 통해서 검사했을 때 NullPointerException이 발생합니다. 기본적으로 String은 참조타입이지만 기본 타입의 성질을 일부 가지고 있어 헷갈리기 쉽습니다. 기본타입: 값을 주고 받는 형태( byte, short, int, long, float, double, boolean, char ) 참조타입: 주소값을 주고 받는 형태( 기본 타입을 제외한 나머지 .. 2023. 2. 5.
[JSP] 쿠키와 세션의 차이에 대해서 / 쿠키=웹 브라우저의 소유 / 세션=서버 와 웹브라우저 둘다 소유 쿠키는 웹 브라우저에 저장되고, 사용자에 의해서 조작될 수 있다. 쿠키를 생성하면, 아래와 같이 어떤 값이 들어있는지 확인이 가능하다.. 그렇다면, 아래와 같이 사용자가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. 왜냐하면, 생성된 쿠키는 웹 브라우저가 소유하기 때문이다. 이에 반해 세션은 웹 브라우저와 서버와 동일하게 가지고 있다. 이때, 웹 브라우저에서 세션값은 쿠키에 담아서 가지고 있고, 서버는 세션값을 그대로 가지고 있다. 이때, 만약 웹 브라우저에서 위처럼 쿠키에 들어있는 세션값을 조작한다면 서버에서는 해당 세션을 사용할 수 없는 세션 값으로 판단한다. 추가로, 로그아웃 등에서 자주 사용하는 session.invalidate()는 세션을 제거하는게 아니라, 세션을 사용할 수 없는 값으로 지정한다고 알고 있으면 된다. 2023. 1. 24.
[JSP] forward 와 sendRedirect의 차이 간단하게 요약하면, forward는 request(요청) 이고, sendRedirect는 response(응답)이다. forward나 sendRedirect는 주로 컨트롤러나 index 페이지에서 사용된다. String strPath = "/WEB-INF/view/list.jsp"; Request dispatcher = request.getRequestDispatcher( strPath ); dispatcher.forward( request, response );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String strPath = "/WEB-INF/view/list.jsp"; response.sendRedirect( strPath ); 우선, request가 forward 되는 상황을 이.. 2023. 1. 24.
[JSP] request.getParameter() null 처리 getParameter() 메서드는 아래와 같이 동작한다. request.getParameter() HTTP 요청의 매개변수 값 반환 해당 매개변수가 없을 경우 null 반환 해당 매개변수가 없을 경우 null을 반환하기 때문에 if (id == null)로 데이터를 검증했다. 하지만 로직 에러가 발생하였고, id 값을 출력해봤다. 당당하게 null이라고 나와서 잠시 혼란스러웠지만 디버깅에서 바로 원인을 알 수 있었다. String id = request.getParameter("id"); 에서 만일 id가 존재하지 않으면 null이 아니라 스트링 "null"이 할당된 것이다. ??? 안전하게 다음과 같이 데이터를 검증하도록하자. if (id == null || "null".equals(id)) 2023. 1. 22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