전체 게시글376 [HTML] 문서의 구조(1) 1. 태그 - 제목을 지정하는 태그이며, 검색엔진이 웹페이지를 분석할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태그 2. 태그 - 이 웹페이지가 어떤 방식으로 저장되는지 알려주며, 어떤 방식으로 열어야하는지 알려주는 태그 - 웹페이지가 저장된 방식과 여는 방식이 일치하지 않을 때 웹브라우저는 이상한 문자를 표시 3. 태그 - 문서의 본문을 정의하는 태그이며 제목, 단락, 이미지, 하이퍼링크 등과 같은 HTML 문서의 모든 내용이 포함 See the Pen Untitled by hbkuk (@hbkuk) on CodePen. 4. * 별첨 - : 이 웹페이지가 HTML(HyperText Markup Language)로서 만들어졌다는 것을 표현하기 위한 코드 2022. 8. 17. [HTML] 기본 문법 - 태그(1) 1. 태그 - 굵게 표시되며, 매우 중요한 텍스트를 정의하는데 사용. See the Pen Untitled by hbkuk (@hbkuk) on CodePen. 2. 태그 - underline 약자,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분에 표시 See the Pen tag by hbkuk (@hbkuk) on CodePen. 3. ~ 태그 - HTML 제목을 정의하고, 태그의 중요도 및 크기가 가장 크고, 가 가장 작음. See the Pen ~ 태그 by hbkuk (@hbkuk) on CodePen. 4. 태그 - 줄바꿈을 통해 단락을 표현하는 태그이며, 닫히는 태그가 없음. See the Pen by hbkuk (@hbkuk) on CodePen. 5. 태그 - 와 동일한 줄바꿈 태그이나, 태그는 단락을 표현하.. 2022. 8. 17. [JAVA] 상수의 데이터 타입 1. 상수 - 상수(常數, constant)란 변하지 않는 값을 의미 - int a = 1; * a는 변수, 1은 상수 2. 상수의 표현 - float a = 2.2; → 오류 * 데이터 타입 불일치 - double a = 2.2; → 오류 없음 * 데이터 타입 일치 - float a = 2.2F → 오류 없음. * 명시적 형변환을 통해 데이터 타입을 일치시킴. => 자바는 기본적으로 double형으로 설정 3. 정수형 - int a = 2147483648; → 오류 * 표현 가능 범위 외 - long a = 2147483648; → 오류 * 데이터 타입 불일치 - long a = 2147483648L; → 오류 없움. * 명시적 형변환을 통해 데이터 타입을 일치시킴. => 자바는 기본적으로 int형으로.. 2022. 8. 11. [JAVA] 데이터 타입 1. 데이터의 크기 - 비트에서 바이트는 *8 이고, 이후로는 *1024 8 bit(비트) 1 byte 1024 byte (바이트) 1 kilobyte 1024 kilobyte (킬로바이트) 1 megabyte 1024 megabyte (메가바이트) 1 gigabyte 1024 gigabyte (기가바이트) 1 terabyte 1024 terabyte (테라바이트) 1 petabyte 1024 petabyte (페타바이트) 1 exbyte 1024 exabyte (엑사바이트) 1 zettabyte - 2. 정수형의 데이터 타입 - 지식, 경험이 필요 - 선언하는 데이터의 따라 메모리 사용량이 달라짐. 따라서 메모리 절약이 가능함. 데이터 타입 메모리의 크기 표현 가능 범위 byte 1 byte -128 .. 2022. 8. 11. [JAVA] 주석과 세미클론 1. 주석 - 주석(comment)은 로직에 대한 설명이나 코드를 비활성화 할 때 사용 * 한줄 주석 // 주석이 입력된다.// * 여러줄 주석 /* 가나다라 마바사아 자차카타파하 /* * JavaDoc 주석 /** JavaDoc 주석 /** 2. 세미클론 - 문장(statement)의 끝을 의미 - 문장의 끝에 세미콜론을 사용하지 않으면 컴파일 에러 발생 2022. 8. 11. [JAVA] 변수 1. 정수와 실수의 변수 선언과 할당 - 정수(-1, 0, 1, 2) * Int(integer) - 실수(0.1, 0.2, 0.3) * double 2. 문자열의 변수 선언 및 할당 - 문자열(coding, everybody) * String 3. 변수의 재활용성 2022. 8. 11. 이전 1 ··· 59 60 61 62 63 다음